윈도우 컴퓨터에서 SFTP 서버를 활용하면 파일 공유와 관리가 수월해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활용하여 SFTP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서버 작업을 하거나, 윈도우 컴퓨터에서 SFTP 서버를 여는 방법을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글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 공유를 위한 SFTP 서버 구축하기
파일 공유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블루투스부터 FTP, NAS, 파일 공유 프로그램, 클라우드 서비스 등 여러 가지 서비스 중에서 왜 SFTP 서버가 유용한지, 그리고 어떻게 구축할 수 있는지 알
olsqe.tistory.com
프로그램을 통해 SFTP 서버 접속하기
프로그램별로 SFTP 서버 호스팅만을 지원하는 경우도 있고, 서버 접속만을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프로그램이 SFTP를 지원하는지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FileZilla Client
이 프로그램은 무료 오픈소스인 것으로 확인하였으나, 더 자세한 내용은 구글에서 [FileZilla Client License]를 검색하여 상단에 나오는 [filezilla-project]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해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이 프로그램은 직관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어, 하나의 창 안에서 서버 접속과 이동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버별, 계정별 프로필 설정이 가능하여 보다 수월하게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FileZilla Server] 프로그램은 SFTP로 서버를 여는 것을 지원하지 않지만 [FileZilla Client]는 SFTP 접속을 지원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 구글에서 [FileZilla Client]를 검색하여 [filezilla-project] 홈페이지에서 본인 컴퓨터의 운영체제와 비트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합니다.
- [Download FileZilla Client] 이미지 버튼을 클릭하여 [가장 처음 옵션]을 선택하고 [저장]을 누릅니다.
([열기]를 클릭하여 바로 실행하셔도 되지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백신 프로그램으로 검사 후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한 뒤 실행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 백신으로 설치 파일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 뒤 설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에서 [예]를 클릭합니다.
- 약관을 검토하신 뒤에 동의하신다면, [I Agree] 버튼을 눌러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 인터넷 브라우저를 다운로드 받을 것이냐는 물음에는 [Decline]을 선택하여 거절하고, [Next]를 누릅니다.
- 특별히 수정할 옵션이 없으므로, [Next]를 3번 더 누른 뒤 [Install] 버튼을 눌러 설치합니다.
- [Finish]를 눌러 설치를 마무리합니다.
- 바탕화면에 생성된 [FileZilla Client] 바로가기를 실행합니다.
- 하나의 서버에 접속해서 사용하거나, 다른 서버에 접속할 일이 드물어서 매번 서버 주소와 사용자 이름 등을 입력하는 방식을 선택한다면, 프로그램 실행 시에 보이는 [호스트]와 [사용자명] 등의 항목에 해당하는 사항들을 바로 입력하여 사용합니다.
[호스트]에는 [SFTP 서버 주소]를 입력하고,
[사용자명]에는 [ID]를 입력,
[비밀번호]에는 [비밀번호]를 입력,
[포트]는 기본적으로 SFTP용 포트인 [22]를 입력한 뒤
(만약 별도로 설정해준 포트가 있다면 설정한 포트를 입력),
[빠른 연결]을 클릭하여 서버에 접속합니다. - 만약 여러 개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주기적으로 접속해야 하는 경우에는 좌측 상단의 [파일] - [사이트 관리자]를 클릭하여 프로필을 생성해줍니다.
[새 사이트]를 클릭한 뒤,
우측 창에서 [프로토콜]을 [SFTP]로 변경,
[호스트]에는 [SFTP 서버 이름]을 입력,
[포트]에는 기본적으로 SFTP 서버용 포트인 [22]를 입력
(별도로 설정한 포트가 있다면 해당 포트를 입력),
[사용자]에는 [ID]를 입력,
[비밀번호]에는 [비밀번호]를 입력,
[이름 바꾸기]를 클릭하여 [해당 프로필이 어떤 이름으로 표시되도록 할지] 입력한 뒤,
[확인]을 누릅니다.
이후에 원하는 서버를 바로 접속하고자 할 때, [파일] - [사이트 관리자] 혹은 단축키 [Ctrl + S]를 입력한 뒤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의 이름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프로필에 설정된 서버와 계정으로 바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 서버에 처음 접속하는 경우, 키를 생성한다는 안내 창이 표시됩니다. 이후에 서버를 접속할 때마다 키 생성을 하지 않고 기존에 생성한 키를 계속 활용하고 싶다면, [항상 이 호스트를 신뢰하고 이 키를 캐시에 등록]을 [체크 표시]해주고 [확인]을 눌러 서버에 접속합니다.
- 서버에 접속이 완료되었습니다.
좌측은 서버에 접속한 컴퓨터의 파일 탐색기이고,
우측은 서버의 파일 탐색기입니다.
작업하고자 하는 파일 또는 폴더를 [우클릭]하여 원하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서버 사용을 마쳤다면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서버 접속을 종료합니다.
Bitvise SSH Client
이 프로그램은 어느 환경에서든 무료인 것으로 확인하였으나, 더 자세한 라이선스 내용은 구글에서 [Bitvise SSH Client License]를 검색하여 나오는 [Bitvise]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직관적인 SFTP 서버 접속 프로그램으로써, 커맨드를 통해서 작업할 수 있고 파일 탐색기 방식으로 작업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활용하기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 구글에서 [Bitvise SSH Client]를 검색하여 상단에 위치한 [Bitvise] 사이트를 클릭합니다.
- [Bitvise SSH Client installer]를 클릭하여 설치파일을 [저장]합니다.
([열기]를 선택하여 바로 실행하셔도 되지만,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백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치 파일을 검사한 뒤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실행 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 백신을 통해 설치 파일을 검사한 이후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면, 파일을 실행합니다.
-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에서 [예]를 누릅니다.
- 약관 내용을 검토한 뒤에 동의하신다면 [I agree to accept all the terms of this License Agreement] 항목에 [체크 표시]를 한 뒤, [Install]을 클릭하여 설치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 바탕화면에 생성된 [Bitvise SSH Client]를 실행합니다.
- [Host]에는 [SFTP 서버 주소]를 입력하고,
[Port]에는 기본적으로 SFTP용 포트인 [22]를 입력
(별도로 포트를 설정해주었다면 설정한 포트를 입력),
[Username]에는 [ID]를 입력,
[Initial method]는 [password]를 선택,
[Password]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하단 좌측에 위치한 [Log in] 버튼을 누릅니다. - 서버를 처음 접속한다면, 새로운 키를 생성한다는 안내창에서 [Accept and Save]를 클릭하여 다음번 접속부터는 자동으로 인증이 되도록 설정합니다.
- 서버에 접속되었습니다.
좌측은 접속한 컴퓨터의 파일 탐색기이고,
우측은 접속된 서버의 파일 탐색기입니다.
작업을 할 대상 폴더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눌러 해당하는 작업을 선택하여 활용합니다. - 커맨드로 서버를 사용하시려면, [Bitvise SSH Client] 창으로 돌아가서 좌측의 [New terminal console]을 선택합니다.
- 서버 사용이 끝나면, 프로그램을 닫아주어 서버 접속을 종료합니다.
'윈도우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SFTP 서버 접속하는 방법 (0) | 2022.09.25 |
---|---|
윈도우 컴퓨터에서 SFTP 서버 여는 방법 (0) | 2022.09.24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SFTP 서버 여는 방법 (1) | 2022.09.23 |
파일 공유를 위한 SFTP 서버 구축하기 (0) | 2022.09.22 |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데이터를 쉽게 이동하고 공유하는 5가지 방법 (0) | 2022.09.21 |
남는 공유기를 활용하여 멀티브릿지로 와이파이 범위 확장하는 방법 (2) | 2022.09.20 |
가상 키보드를 활용하여 키보드 없이 마우스로만 입력하는 방법 (0) | 2022.09.19 |
상위노출을 위한 티스토리 북클럽 스킨 h1 태그 SEO 설정 방법 (0) | 2022.09.16 |
댓글